SELECT MOD(11,4) "Modulus" FROM DUAL;
Modulus
----------
3
This function behaves differently from the classical mathematical modulus function when m is negative. The classical modulus can be expressed using the MOD function with this formula:
m - n * FLOOR(m/n)
The following table illustr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D function and the classical modulus:
TRANSLATE함수는 from_string에서 각 문자를 to_string안의 대응하는 문자로 치환하여 expr을 반환한다. from_string안에 존재하지 않는 expr안의 문자는 치환되지 않는다. 만약 expr이 문자열이라면, 홑 따옴표로 둘러쌓여야 한다. 인수 from_string는 to_string보다 더 많은 문자를 가질수 있다. 이 경우에, from_string의 마지막에 있는 여분의 문자는 to_string안에 상응하는 문자가 없다. 만약 이 여분의 문자가 char안에 있는 경우, 그러한 문자는 반환값으로부터 삭제된다.
반환값으로부터 from_string안의 모든 문자를 삭제하기 위해서 to_string에 대한 빈 문자열을 사용할수 없다. 오라클 데이터 베이스는 공백 문자열을 NULL로써 해석하고, 이 함수가 NULL 인수를 가지면, NULL을 반환한다.
TRANSLATE함수는 REPLACE함수에 의해 제공되는 관련 함수를 제공한다. REPLACE함수는 단일 문자열로부터 다른 단일 문자열의 치환과 문자열의 삭제를 실행할수 있다. TRANSLATE는 하나의 연산에서 단일 조작으로 복수의 단일 문자를 1대 1로 치환할수 있다.
이 함수는 CLOB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지원하지 않는다. 그러나 암묵적인 데이터 변환으로 CLOB를 인수로서 전달할수 있다.
다음 문장은 book 타이틀을 파일명으로써 이용되기 위해서 문자열로 변환한다. from_string는 공백,*,/,''(escape문자로써 여분의 apostrophe를 가지는)의 4개의 문자를 포함한다. to_string는 3개의 underscore를 소유한다. from_string의 4번째 문자(')에 대응하는 치환 문자가 없기 때문에, 반환되는 값으로 apostrophe가 삭제되었다.
LTRIM함수는 문자열 char 좌측으로부터 set으로 지정된 모든 문자를 제거한다. 만약 set이 지정되지 않았다면, 디폴트로 한개의 공백이 지정된다. 만약 char이 문자열이라면, 따옴표를 해야만한다. 오라클 데이터 베이스는 char 첫 문자에서부터 스캔을 하여 set으로 지정된 모든 문자를 삭제한다. 지정한 set이외의 문자 발견시 결과를 반환한다.
char과 set의 데이터 형은 CHAR,VARCHAR2,NCHAR,NVARCHAR2,CLOB,NCLOB이다.
LPAD함수는 지정된 자리수 n으로부터 expr1을 채우고,왼편의 남은 공간에 expr1을 채운다. 이 함수는 쿼리의 출력 서식에 대하여 유용하다.
인수 expr1과 인수expr2의 데이터 형식은 CHAR,VARCHAR2,NCHAR,NVARCHAR2,CLOB,NCLOB이다. 반환되는 문자열은 VARCHAR2데이터형이고, 인수 expr1과 같은 문자이다. 인수 n은 숫자 정수 또는 암묵적으로 정수로 변환가능한 값이다.
만약 expr2를 지정하지 않는다면, 기본값은 Blank이다. 만약 expr1이 n보다 크다면, 이 함수는 n에 적합한 expr1의 일부를 반환한다.
인수n은 터미널 스크린에서 표시되는 것과 같은 반환값의 전체 Length이다. 대부분의 문자세트에서, 이것은 반환되는 값에서 문자의 숫자이다. 그러나 multibyte문자세트에서는, 문자열의 표시되는 Length가 문자열에서 문자의 숫자로부터 다를수있다.
The INSTR함수는 string에서 substring를 찾는다. 이 함수는 처음 발생한 문자 string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수를 반환한다. INSTR함수는 입력 문자 세트에 의해서 정의된 문자를 이용하여 문자열을 산출한다.
INSTRB함수는 문자 대신에 byte를 사용한다.
INSTRC함수는 완전한 UNICODE문자를 사용한다.
INSTR2함수는 UCS2 코드 포인트를 사용한다.
INSTR4함수는 UCS4 코드 포인트를 사용한다.
position은 오라클 데이터 베이스가 검색을 시작하는 string에서 문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0이외의 정수이다. 만약 Position이 음수라면, 오라클은 string의 끝에서 역으로 카운트하여 검색한다.
occurrence은 오라클이 검색하여 string의 발생 횟수(정수)이다. Occurrence값은 양의 정수이다.
string과 substring의 데이터 형은 CHAR,VARCHAR2,NCHAR,NVARCHAR2,CLOB,NCLOB이다. 반환값의 데이터형은 NUMBER이다.
Position과 occurrence는 NUMBER 데이터형이거나, 암묵적으로 NUMBER형으로 변환가능한 데이터형일 필요가 있고, 정수로 변환될 필요가있다. Position 과 occurrence의 기본값은 1이고, 오라클은 string의 처음 문자에서 검색을 시작하여, substring이 처음 나타나는 위치를 검색한다. 반환되는 값은 position의 값과 상관없이 string의 시작에 비례하고, 문자에서 표현된다. 만약 검색이 실패한다면(substring이 string의 position 문자 뒤에 occurrence번 나타나지 않는다면), 반환값은 0이다.